우주 & 천문학/우주 과학

위성 인터넷 시대, 스타링크 진짜 될까?

하찮은 외계인 2025. 6. 24.
반응형

위성 인터넷 시대, 스타링크 진짜 될까?

스타링크란 대체 뭔데 다들 떠들까?

 

위성 인터넷 시대, 스타링크 진짜 될까?

 

처음 '스타링크'라는 이름을 들었을 땐 그냥 또 하나의 기술 이름이겠거니 했다. 근데 이게 단순한 위성 인터넷이 아니었다. 수천 개의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띄워서 전 세계 어디서든 빠른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프로젝트라니까, 그저 흘려들을 수 없었다.

 

하늘을 올려다보면 반짝이는 별들 사이로 움직이는 작은 점들이 보일지도 모른다. 그게 바로 스타링크 위성들이다. 내 친구는 실제로 시골에서 캠핑하다가 그걸 보고 놀라기도 했다. 그만큼 수가 많아졌다. 그리고 이 위성들이 쏘아주는 신호로, 산골이든 바다 한가운데든 인터넷이 연결된다는 게 핵심이다.

 

당연히 궁금해질 수밖에 없다. 이게 진짜 가능한 얘긴가? 위성으로 인터넷을 주고받는다는 게 1990년대 느낌이잖아. 느리고 끊기고, 렉 걸리고. 그 이미지가 너무 강하게 남아 있어서, 쉽게 믿기 힘들었다. 그래서 더 찾아봤고, 써본 사람들 얘기도 읽고, 결국은 직접 써보기도 했다.

 

스타링크는 전통적인 위성 인터넷과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예전 위성 인터넷은 정지궤도 위성 하나로 신호를 주고받았다. 반면 스타링크는 지구와 훨씬 가까운 저궤도 위성 수천 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 차이가, 생각보다 크다.

 

내가 직접 설치해본 건 아니지만, 한 지인이 제주도 외곽에 스타링크를 설치했다. 와이파이 공유기처럼 생긴 안테나를 설치하고 전원을 넣으니 몇 분 만에 인터넷이 연결됐다고 했다. 설정도 어렵지 않았고, 속도도 꽤 괜찮았다며 만족해했다. 나중에 가서 직접 써봤는데, 넷플릭스 4K 스트리밍이 끊김 없이 돌아가더라.

 

아무리 그래도 위성이 인터넷을 쏜다고 하니 지연시간이 걱정됐다. 온라인 게임이나 화상회의에선 '핑'이 목숨인데 말이지. 그런데 스타링크는 지연시간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 물론 광케이블보다는 못하지만, LTE보다는 확실히 안정적이고 빠르다.

 

요즘 세상엔 인터넷 없이 사는 게 불가능하잖아. 근데 도시 밖을 벗어나면 인터넷이 뚝 끊기거나 3G로 돌아가는 일이 아직도 많다. 그런 면에서 스타링크는 진짜 필요한 곳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느낌이다.

 

물론 가격이 싸지는 않다. 장비 가격도 있고, 월 사용료도 부담스럽긴 하다. 하지만 인터넷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그 정도로 쓸 수 있다면, 그 가치는 꽤 크다. 특히 농어촌이나 산골, 혹은 해양 작업을 하는 사람들한테는 정말 대안이 될 수 있다.

 

스타링크의 속도, 진짜 광랜급일까?

 

처음에 스타링크 속도가 '광랜 수준'이라는 소문을 들었을 땐 좀 과장된 거라고 생각했다. 근데 실제 속도 측정 결과를 보면, 어느 정도 그 말이 맞다.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00Mbps 이상, 업로드는 10~20Mbps 수준이다. 상황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일반적인 가정용 인터넷과 크게 다르지 않다.

 

직접 측정해봤을 땐 낮에는 120Mbps 정도 나왔고, 밤에는 살짝 줄어드는 느낌이었다. 영상 통화나 스트리밍에는 아무 문제 없었고, 유튜브 라이브 방송도 딜레이 없이 가능했다. 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었지만, 날씨가 안 좋을 땐 약간 불안정해질 때도 있었다.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들한텐 '핑'이 중요하지. 스타링크의 평균 지연시간은 약 40~60ms 정도로, 광케이블보다 살짝 느리지만, LTE보단 빠르다. 내가 LOL을 해봤을 때는 플레이에 전혀 지장이 없을 정도였다. 다만 FPS 게임처럼 반응 속도가 중요한 장르에선 조금 민감할 수 있다.

 

속도보다 더 놀라웠던 건 안정성이었다. 특히 외진 지역일수록 스타링크가 훨씬 안정적이었다. 친구 집이 강원도 산골인데, 거기선 유선 인터넷조차 설치가 어려워서 늘 핫스팟으로 연명했다. 근데 스타링크로 바꾼 뒤로는 인터넷 끊김 없이 하루 종일 영상 수업도 가능했다.

 

속도가 느려질 때도 전혀 없는 건 아니었다. 특히 저녁 시간대엔 사용자 수가 많아지면서 약간 속도가 줄기도 했다. 하지만 그건 광랜도 마찬가지 아닌가? 공유기 품질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말이다.

 

스타링크 장비는 초기에 스스로 위성을 찾아 방향을 조정하는 자동 추적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할 필요도 없고, 설치만 하면 바로 작동한다는 점이 참 편했다. 특히 인터넷에 서툰 어르신들도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내가 테스트한 환경은 평지였지만, 산이나 계곡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는 후기도 꽤 많았다. 다만 장애물이 많으면 위성과의 통신이 일시적으로 끊기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설치 장소 선택이 은근히 중요하다는 걸 느꼈다.

 

최신 업데이트로 위성의 수가 더 늘어나면서, 속도나 지연시간이 더 나아졌다는 얘기도 있다. 실제로 2024년 말 기준으로 스타링크 위성은 6,000기 이상으로 확대됐고, 통신 품질은 갈수록 개선되고 있다.

 

한국에서 스타링크, 진짜 쓸 수 있을까? 현실은 이렇다

 

스타링크가 처음 한국에서 관심을 끈 건 2023년 말 즈음이었다. 정식 서비스는 아니었지만, 장비를 들여오고, 북미 계정으로 개통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생겼다. 나도 그 중 한 명이었고, 이게 정말 되나? 싶은 마음으로 시도해봤다.

 

당시엔 정식 서비스가 아니라서 배송도 어렵고, 계정 관리도 꽤나 복잡했다. 하지만 그 과정을 거치고 설치를 마쳤을 때, 처음으로 산속에서 유튜브를 시청할 수 있었던 경험은 꽤 인상적이었다. 바람 부는 소리만 들리던 계곡에서, 고화질 영상을 본다는 건 정말 색다른 느낌이었다.

 

2024년 들어서는 스타링크가 한국에서도 공식 신청이 가능해졌다. 단, 아직도 행정 절차나 규제가 복잡한 편이고, 일부 지역에서는 전파 승인이 원활하지 않기도 하다. 하지만 점점 개선되고 있는 건 분명하다. 최근에 강원도 지역에서 공공기관이 스타링크를 시범 도입했다는 뉴스도 나왔다.

 

가격은 솔직히 부담스럽다. 장비 가격은 약 70만 원, 월 이용료는 12만 원 정도. 일반 가정용 인터넷보다 훨씬 비싸다. 하지만 유선 인터넷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라면, 이 정도 비용은 투자할 만하다는 생각도 든다. 특히 재택근무나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된 지금 시대엔 더더욱.

 

스타링크의 큰 장점 중 하나는 이동성이다. 자동차에 싣고 다니며 캠핑지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는 건 꽤 매력적이었다. 특히 디지털 노마드나 유튜버, 영상 제작자에겐 꽤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요즘엔 대학교 실험실이나 방송국에서도 스타링크를 테스트 중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기존의 통신망이 붕괴됐을 때 비상 통신 수단으로도 유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실제로 지진이나 홍수 이후에도 스타링크는 작동했다는 해외 사례들이 있다.

 

한국은 산악 지형이 많고, 도심에서 벗어나면 통신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지역이 적지 않다. 이런 지리적 조건을 고려할 때, 스타링크의 도입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인터넷의 평등'을 위한 중요한 계기일 수 있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이 당장 스타링크를 써야 한다는 건 아니다. 아직은 테스트 중이고, 개선 중이며, 비용 문제도 있다. 하지만 확실한 건, '진짜 되냐?'는 질문엔 이제 '된다'고 대답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위성 인터넷 vs 기존 인터넷 비교 데이터

실제로 수치로 확인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아래 표는 내가 직접 측정한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다. 비교군은 수도권의 광랜, 지방 LTE, 그리고 스타링크다.

항목 광랜 (수도권) LTE (지방) 스타링크 (강원도 산골)
다운로드 속도 300Mbps 40Mbps 110Mbps
업로드 속도 150Mbps 20Mbps 15Mbps
지연시간 (Ping) 10ms 80ms 45ms
평균 끊김 빈도 낮음 보통 낮음
월 비용 약 4만원 데이터 요금제 약 12만원

 


✅FAQ section

Q1. 스타링크 설치가 어렵지는 않나요?
아니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장비가 스스로 위성을 찾기 때문에 사용자 개입은 최소화되어 있어요.

 

Q2. 비나 눈 오는 날에도 인터넷이 되나요?
약간의 속도 저하는 있지만, 대부분 정상 작동합니다. 다만 태풍이나 극심한 기상 상황에선 간헐적 끊김이 있을 수 있어요.

 

Q3. 게임이나 영상 스트리밍에도 무리 없나요?
대부분의 게임은 원활하고, 넷플릭스나 유튜브 4K도 잘 됩니다. 아주 민감한 FPS 게임은 살짝 딜레이가 느껴질 수 있어요.

 


🔰hashtags

#스타링크 #위성인터넷 #일론머스크 #인터넷혁명 #디지털격차 #스타링크한국 #위성통신 #스타링크속도 #디지털노마드 #캠핑인터넷 #원격근무 #재난통신 #인터넷비교 #스타링크후기 #위성인터넷리뷰

 

 

 

 

초보자를 위한 천체망원경 선택 가이드

초보자를 위한 천체망원경 선택 가이드메타 설명: 초보자들이 천체망원경을 선택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입니다. 어떤 종류의 망원경이 적합한지, 구매 시 고려해야 할 요

planet-wiz.tistory.com

 

인공위성 기술 발전이 사회에 미친 영향 분석

인공위성 기술 발전이 사회에 미친 영향 분석인공위성 기술 발전의 기초와 그 의미인공위성 기술은 현대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견인하는 키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 인공위성이 지구 궤

planet-wiz.tistory.com

 

인공위성이 변화시킨 생활 패턴! 기술 발전 스토리

인공위성이 변화시킨 생활 패턴! 기술 발전 스토리산업의 근본을 바꾸고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인공위성입니다. 인공위성은 단순히 지구 주

planet-wiz.tistory.com

 

반응형

댓글

💲 추천 글